<p></p><br /><br />경유 차량의 필수품, 요소수 대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<br> <br>모든 경유차에 요소수가 필요한 건지, 대체 기술은 없는지 확인해봅니다. <br> <br>요소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. <br><br>배기가스 속 발암물질인 질소산화물이 요소수와 만나면, 인체에 무해한 물과 질소로 바뀌면서 오염물질이 최대 99%까지 줄어듭니다. <br> <br>국내에선 유럽연합의 배출가스 기준 '유로6'에 맞추려고 2015년 이후 출시된 모든 경유차에 요소수를 활용한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의무화했습니다. <br><br>이들 경유차의 주유구를 열면 색깔이 다른 두 개의 주입구가 있는 게 특징입니다. <br> <br>하나는 연료, 나머지는 요소수 주입구입니다.<br> <br>요소수가 부족해지면 이렇게 계기판에 경고등이 켜지는데요. <br> <br>경고등이 켜지면 차량이 금세 멈출까 봐 불안하다는 분들도 많습니다. <br> <br>사실일까요?<br> <br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 <br>"주행 중 요소수가 떨어졌다고 시동을 꺼버리면 대형 사고의 위험이 있죠. 운행이 마칠 때까진 정상 운행이 가능하지만, 시동을 끈 다음 다시 켤 때 걸리지 않도록 제한 조치를 해놓은 거죠." <br> <br>우리나라에도 과거엔 요소 생산업체들이 있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중국, 러시아 등 해외업체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면서 의무화 2년 전인 2013년 전후로 생산을 중단하고 수입에 의존해왔습니다. <br> <br>대체 기술은 없을까요. <br> <br>한국화학연구원은 요소수 없이도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촉매 개발 기술을 지난 4월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내년 3월쯤 경유차 엔진 실험을 하고, 내후년 상용화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팩트맨이었습니다. <br><br>연출·편집 : 황진선 PD <br>구성 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장태민 한정민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권솔 기자 kwonsol@donga.com